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LB,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 FDA 승인 초읽기 –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판도를 바꿀까?

by 머니그리드 2025. 3. 20.

HLB,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 FDA 승인 초읽기 –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판도를 바꿀까?

HLB가 개발한 간암 치료제 ‘리보세라닙’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최종 승인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승인 여부는 K-바이오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과연 리보세라닙은 FDA의 마지막 관문을 통과할 수 있을까요?
이번 기사에서는 FDA 승인 과정, 임상 결과, 글로벌 시장 전망 및 바이오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분석합니다.

HLB,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 FDA 승인 초읽기 –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판도를 바꿀까?

 

 

1. 리보세라닙 – 간암 신약의 새로운 패러다임

1) 리보세라닙이란?

리보세라닙은 VEGFR-2(혈관 내피 성장인자 수용체)를 억제해 암세포의 성장을 차단하는 표적 항암제입니다.

 

▶ 기존 항암제 대비 강점
생존율 증가: 간암 환자의 전체 생존 기간(mOS) 22.1개월로 기존 치료제(15.2개월) 대비 38% 사망 위험 감소
부작용 감소: 기존 면역항암제보다 독성 반응이 낮고, 환자의 내약성이 우수
캄렐리주맙과 병용 가능: 단독 요법뿐만 아니라 면역항암제와 병용하여 더 나은 치료 효과 기대

 

💡 이러한 특성 덕분에 리보세라닙은 간암 1차 치료제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FDA 승인 과정 – 마지막 관문 통과할까?

1) 리보세라닙의 FDA 승인 타임라인

2023년 5월 – HLB, 리보세라닙 신약 허가 신청 (NDA 제출)
2024년 5월 – FDA, 제조공정(CMC) 문제로 보완 요구 서한(CRL) 발행
2024년 9월 – HLB, CMC 문제 해결 후 FDA에 보완 서류 제출
2025년 3월 20일(현지시간) – FDA 최종 승인 발표 예정 (PDUFA 일정에 따른 공식 발표일)

 

현재 상황
HLB는 FDA가 지적한 제조공정(CMC) 문제를 해결했으며, 유럽종양학회(ESMO)에서도 리보세라닙이 간암 1차 치료제로 가이드라인에 등재되었습니다.

 

FDA가 승인하면?
미국·유럽·아시아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
간암 1차 치료제 시장에서 점유율 확보
K-바이오 최초의 기술수출 없는 신약 개발 사례

 

변수는?
FDA가 추가적인 보완 요청을 할 가능성이 있으며, 중국 제조공정(CMC) 실사 결과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리보세라닙의 글로벌 시장 전망 – 경쟁력 있을까?

현재 글로벌 항암제 시장에서 간암 치료제는 키트루다(Keytruda, MSD)와 레고라페닙(Stivarga, 바이엘) 등이 대표적인 경쟁 약물입니다.

 

1. 리보세라닙의 경쟁력 분석

항암제 생존율(mOS) 부작용 병용 요법 가능 여부
리보세라닙 22.1개월 낮음 ✅ 가능 (캄렐리주맙)
키트루다 16.1개월 중간 ❌ 단독 요법 위주
레고라페닙 15.2개월 높음 ❌ 단독 요법 위주

2. 리보세라닙의 강점:
생존율이 가장 높고, 부작용이 적음
면역항암제와 병용 요법이 가능하여 시장 확장성이 큼

 

💡 FDA 승인을 받으면 HLB는 미국·유럽·아시아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4. 국내 바이오 산업에 미치는 영향 – HLB 성공이 중요한 이유

1. K-바이오의 패러다임 변화

✅ 기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FDA 승인의 벽을 넘지 못하고 기술 수출(라이선스 아웃)에 의존
✅ HLB가 FDA 승인을 받으면, 국내에서도 독자적인 신약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

2. 벤처캐피털(VC) 투자 환경 변화

✅ 현재 한국의 벤처캐피털(VC) 투자 방식은 신약 개발사의 경영권 보유가 법적으로 제한
✅ FDA 승인이 성공하면, 미국식 VC 투자 방식(기업 경영 적극 참여)이 한국에도 도입될 가능성

3. 바이오 기업의 글로벌 진출 촉진

✅ FDA 승인 후, 리보세라닙이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유럽·아시아 진출하면 다른 한국 바이오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 결국, HLB의 성공은 단순한 신약 승인 그 이상으로, 국내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화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5. 결론 – HLB,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판도를 바꿀까?

📢 3월 21일(한국시간), FDA 최종 승인 발표 예정! 


✅ 리보세라닙이 FDA 승인을 받으면,
K-바이오 최초의 기술 수출 없는 신약 성공 사례
간암 1차 치료제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
국내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화 가속화

❗ 하지만, FDA의 추가 보완 요청 가능성과 제조공정(CMC) 실사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과연 HLB는 FDA의 마지막 관문을 통과할 수 있을까요?
국내외 바이오 업계의 시선이 HLB의 FDA 승인 여부에 집중되고 있습니다.